간호조직에서 겪은 어려움 돌아보기
-
박은준
- 기사입력2025-03-21 15:32
- 제243호
업무위임 또는 권한위임과 관련해 어려움을 경험했던 사례를 제시하고, 원인 분석 및 개선점을 제안하시오. (총 20점, A4 1.5페이지 이상)1) 본인이 하급자(간호보조인력 포함)에게 업무(권한)를 위임한 사례, 또는 상급자에게 업무(권한)를 위임받은 사례 중 어려움을 경험했던 사례를 1가지 선택하고, 육하원칙을 적용해 상황을 이해할 수 있도록 이야기하시오. (10점)2) 위 사례에서 어려움이 발생한 ①원인을 분석해 모두 설명하고, 이를 근거로 향후 유사한 상황에서 업무(권한)를 위임할 때 ②개선하거나 주의할 사항을 3가지 이상 제시하시오. (10점)간호조직에서 위임은 주로 관리자가 하는 것으로 생각해 왔지만, 간호간병통합서비스가 도입되면서 간호사의 간호업무 위임이 일상화됐다. 이 과제를 통해 본인이 위임자 또는 피위임자 입장에서 경험한 어려움을 살펴보고, 그 원인 파악과 함께 적절한 위임을 실천하기 위한 개선 방안과 주의점을 고민하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위임은 권한위임과 업무위임으로 구분할 수 있다. 권한위임에서 피위임자는 위임받은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 혼자 또는 위임자와 함께 핵심 의사결정을 하는 권한을 갖는다. 교재 6장(멀티미디어 강의 5강)에서 권한위임이 필요한 이유와 위임 수준을 결정할 때 고려할 점을 설명하고 있다. 한편,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 간호사들은 간호업무 위임을 하고 있는데, 위임자인 간호사가 간호와 관련된 핵심 의사결정을 하고 피위임자인 간호조무사에게 식사 보조 등 특정 간호업무를 위임할 수 있다. 이때 위임이 적절했는지 평가하려면, 위임에 적합한 업무였는지, 위임할 수 있는 적절한 상황이었는지, 위임받을 만한 올바른 사람을 선택했는지, 위임 관련 지시와 의사소통이 적절했는지, 위임 후에도 필요한 감독과 지원이 이뤄졌는지 등을 살펴봐야 한다. 예를 들어 권한위임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과도하게 개입하며 의사결정 권한을 인정하지 않는 경우, 또는 업무위임 후 적절한 의사소통이나 지원을 제공하지 않는 방임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환자 안전을 지키는 위임이 이뤄지려면 책임과 책무의 개념을 이해해야 한다. 간호사가 간호조무사에게 특정 행위 수행에 대한 책임을 위임하더라도 여전히 간호조무사가 한 행위의 결과에 대한 책무,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책무는 위임자
구독 후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