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놀이 관점에서 분석해 본다면?
-
박상현
- 기사입력2025-03-28 13:57
- 제244호
1. 프랑스의 사회학자 로저 카유아(Roger Caillois)가 주장한 놀이의 4대 요소를 각각 정의하고, 적절한 예시를 들어 설명하세요. (10점)2. 자신이 좋아하는 하나의 스포츠를 선정한 후, 그 종목이 가진 다양한 특성을 로저 카유아(Roger Caillois)의 놀이의 4대 요소를 적용해 설명하세요. (20점)「체육철학」 과목은 생활체육지도과에 입학한 학우들이 ‘스포츠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답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 교과목입니다. 즉, 이 과목을 통해 학우들이 스포츠가 가지는 본질적 가치와 더불어 우리가 일상에서 쉽게 접하는 스포츠활동을 철학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주된 목표입니다. 멀티미디어 강의에서도 다루고 있듯이, 스포츠는 놀이(play)-게임(game)-스포츠(sport)라는 순차적 변화 과정을 거쳐왔기에 놀이, 게임의 특성을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스포츠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 놀이가 가지고 있는 특성부터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2025학년도 1학기 「체육철학」 과목의 중간 과제물은 프랑스의 사회학자 로저 카유아(Roger Caillois)가 제시한 놀이의 네 가지 요소를 적용해 스포츠의 본질을 분석하는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과제는 두 가지 문제로 구성됐으며, 각각 반드시 두 문제에 모두 답변해야 합니다. 특히, 두 번째 문제에서는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스포츠 종목을 하나 선정한 후, 해당 스포츠를 로저 카유아의 놀이 네 가지 요소에 맞추어 분석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자신이 선택한 종목의 특성을 다각적으로 세밀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자신이 선택한 종목이 ‘수영’이라면 단순하게 ‘물에서 팔과 다리를 움직여 이동하는 스포츠’로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물속에서의 자유로운 몸의 움직임이나, 몸이 느끼는 물살의 흐름, 빠른 기록을 위한 경쟁과 같은 경험을 떠올려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학 수준의 체육 및 스포츠 관련 수업에서는 스포츠를 근본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첫 단계로 놀이, 게임, 스포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소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어린아이들이 단순한 동작을 통해 공을 주고받는 공놀이는 유희적 요소가 강조되지만, 특정한 규칙이 없거나 매우 느슨합니다. 하지만, 농구라는 게임에서는 공정한 경쟁을 위한 많은 규칙이 존재합니다. 만약, 농구 경기에서 트래블링(traveling)이라는 규칙이 없다면, 누구나 골대를 향해 공을 잡고 뛰어가는 하나의 놀이가 될 것입니
구독 후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