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중국으로 가는 옛길 ⑩

 조선의 동지사(冬至使)가 북경에 도착하면, 관소에 머무르는 기간은 약 40~50여 일입니다. 사행의 1차 목적인 ‘국가 외교업무 수행’ 외에 새로운 세상에 대한 견문, 즉 당시 세계관의 중심이었던 연경(북경)의 발전된 문화와 풍속을 경험하는 것은 ‘일생일대의 기회’를 실천하는 일이었습니다. 이들이 거쳐 갔던 연경의 유람 공간으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명소와 명승·생활 풍정 답사 사행단의 유람은 문헌과 전설, 관념 속의 명소와 명승을 직접 찾아가 보는 현장답사는 물론, 민간의 연희, 잡기, 풍속을 직접 경험하고 체험하는 생활 풍정 답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했습니다. 조선 사신들의 주요 유람처는 황궁과 국자감, 태액지, 오룡정, 이화원 서산, 원명원, 사찰, 도관, 사당, 회관 등 주요 명승과 명소였습니다. 또한 중국의 문인들이 머무는 공간 역시 주요한 유람처로 생각했습니다. 중국의 문사들과 필담(筆談)이나 시회(詩會)에 직접 참여하여 교류하거나 문인들과의 연계를 모색하고 소개를 주고받는 등의 행위 또한 교유와 유람의 성격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습니다.  사절단 엄격하게 통제했던‘문금’ 사신은 외교사절이라는 특수한 신분 때문에 명·청 조정의 엄격한 통제 아래 주로 관소에서 생활해야 했습니다. 이러한 문금(門禁) 제도는 외국의 사신들이 연경 시내를 마음대로 활보할 수 없도록 관리하는 것입니다. 이는 자국의 풍정과 정보가 외국인들에게 노출되는 것을 꺼려했기 때문입니다. 대체로 명대에는 기간을 정해두고 제한적으로 사행의 관소 출입을 용인했습니다. 청나라 초기에도 특별한 경우 외엔 허용되지 않다가 정세가 안정되고부터는 점차 느슨해졌습니다.사행단의 삼사(三使)는 거동에 제한이 있어 직접적인 유람이 쉽지 않다 보니 역관이나 수행원들의 유람 소감을 전해 들으며 북경의 이모저모를 인식하기도 했습니다. 비교적 자유로웠던 자제군관(子弟軍官)들은 역관들과 함께 방물을 납부하는 행렬에 포함돼 자금성을 구경하거나 사행단의 식수(물)를 조달하기 위해 바깥출입을 하는 기회에 동행하기도 하는 등 까다로운 문금 절차를 피해 유람했습니다.   유람의 시작, 자금성 구경연경유람에서 가장 기대되는 것은 뭐니 뭐니 해도 ‘황제가 사는 곳을 구경하는 일’일 겁니다. 바로 자금성을 구경하는 일입니다. 1617년에 명에 사행한 이상길(李尙吉)은 『조천일기』에서 “환갑 넘어 명나라 황궁을 보고 우물 안 개구리를 벗어났다”고 했습니다. 조회에 참여한 이른 새벽의 분주한 이모저모와 자금성 주변의 장대하고 화려한 중화의 문물에 짐짓 놀라는데, ‘과연 듣던 대로였다’는 의견을 피력합니다. 궁궐을 직접 보았으니 ‘우물 안 개구리’의 식견은 벗어났다며 자위하기도 합니다. 이상길의 자금성 구경은 공식 사절이었기에 가능했습니다. 그러나 조회에 참여할 수 없는 사행의 일원은 어떤 방식으로 황궁을 구경했을까요? 담헌 홍대용은 방물을 납부하기 위해 짐바리를 실은 마차의 인부들 행렬에 끼어 자금성을 유람했습니다.  숭정제 순절처에서 곡하다 억류되기도자금성 북쪽의 매산(煤山), 즉 경산(景山)에는 명의 마지막 황제인 숭정제(崇禎帝)의 순절처(殉節處)가 2기의 비석과 함께 남아 있습니다. 순절처를 둘러본 조선 사신들은 마지막 황제의 안타까운 죽음을 상기하면서 서리지회(黍離之懷: 명이 멸망한 일을 애석해함)의 상념에 젖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조선 관리들의 관념은 청의 입관 초기에 두드러지기도 하는데요, 초기에 사행했던 이들 중에는 숭정제 순절처인 이곳에 들러 청의 관리들의 눈을 피해 곡(哭)

1좋아요 URL복사 공유
현재 댓글 0
댓글쓰기
0/300

사람과 삶

영상으로 보는 KNOU

  • banner01
  • banner01
  • banner01
  • banner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