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중국으로 가는 옛길 ⑪

1780년 사절단의 일원으로 참여한 박지원은 『열하일기』를 남겼고, 1790년 사절단의 막료로 참여한 박제가·유득공 역시 연행록을 남겼습니다. 모두 북방의 장성 너머 사막지대인 열하(熱河)에 간 경험이 있습니다. 열하로 향하는 노정은 각기 달랐는데요, 하지만 모두 건륭황제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다녀온 ‘뜻밖의 북방여행’이었다는 점에 공통점이 있습니다. 이번 호에서는 『열하일기』의 동선을 살펴보겠습니다.‘조선 사신은 열하로 오라’ 1780년 건륭의 70세 만수절을 맞아 사은겸진하사절(謝恩兼進賀使節)의 일원이 된 연암과 그 일행들은 8월 1일 연경에 도착했습니다. 다소 여유롭게 유리창 일대를 둘러보며 중국의 문사들을 만나거나 서가의 책들을 탐색하며 소일하던 연암 일행은 나흘째 되던 날, 부랴부랴 짐을 싸게 됩니다. “조선 사신은 열하로 오라, 만수절 이전에 도착하라”는 황명(皇命)을 전달받았기 때문입니다. 느닷없는 ‘열하행 호출’은 사행단을 당황스럽게 합니다. 예부의 행정 미숙으로 황제가 조선 사신을 급히 찾고 있고, 일 처리를 잘못해 황제로부터 견책(감봉)을 받은 예부 관리들이 더욱 채근하는 통에 사행단의 움직임도 급해졌습니다. 당장 누가 열하로 갈 것인지 정해야 했습니다. 사행단의 정사였던 박지원의 형 박명원이 동행하기를 원하고 있으나, 연암의 고민은 깊었습니다. 연암이 중국행에 나선 까닭은 연경에서 펼칠 포부와 견문이었는데 느닷없이 열하라니! 고민이 깊어지는 가운데 박명원의 권유가 이어집니다. “자네가 만리 길 북경에 온 것은 유람을 위해서인데, 뭘 망설이는가? 이번 열하 여행은 앞서 누구도 가보지 못한 곳이니, 만약 귀국하는 날에 누가 열하가 어떻더냐고 묻는다면 어떻게 대답할 터인가? 북경이야 사람들마다 모두 와서 보는 곳이고, 이번 열하 여행은 천년에 한 번 만나는 좋은 기회이니 자네가 가지 않을 수는 없네.” ―박지원, 『열하일기』(김혈조 譯, 2008) 고민 끝에 열하행을 결정한 연암이 “열하까지의 걸음은 우리나라 사람으로는 처음 있는 일이다”라는 말로 열하에 도착한 벅찬 심정을 노래한 것은 며칠 후의 일이었습니다.  고북구 마을을 지나 한밤중에 만리장성을 지나던 연암은 장성 벽에 단도로 흔적을 새겼습니다. “나는 서생의 몸으로 백발이 되어서야 장성을 한번 나가보는구나!” 오늘날 그 장성의 위치를 찾을 길이 없거니와 한낮에 통과해야 하는 여행자로선 연암의 모습을 상상으로만 그려야 하니 아쉽기만 합니다.   강행군 5일간의 기록 막북행정록『열하일기』에선 연경 → 순의 → 회유 → 밀운 → 목가곡 → 석갑성 → 남천문 → 고북구 → 난하 → 열하로 이어지는 사행단의 동선을 막북행정록(漠北行程錄) 이라는 항목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황제의 만수절에 참여하기 위해 연암 일행은 숙소인 서관(西館) 밖 첨운패루(瞻云牌樓) 앞에서 북경 관소(館所)에 잔류하는 인원과 작별하고 자금성 북쪽 지안문(地安門)을 거쳐 동직문(東直門)을 나갑니다. 8월 5일부터 8월 9일까지 5일 밤낮을 도와 열하로 향하게 되는데요, 막북행정록의 막북(漠北)은 사막의 북쪽, 즉 변방을 의미합니다. 장성 너머 사막지대의 변방을 지나면서 보고 듣고 고생했던 이야기를 기록한 글입니다.  막북행정록은 인간사에서 가장 괴로운 일인 ‘이별’, 즉 ‘헤어짐’에 대한 정서를 설파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만수절 이전에 열하에 도착해야 하는 관계로 행렬의 기동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행단 인원을 대폭 축소해야 했습니다. 당연히 ‘떠나는 자’와 ‘남는 자’가 있게 마련이고, 이들의 전별 장면을 지켜보면서 연암은 인간의 정서 중에 가장 괴로운 것은 바로 이별이라고 했습니다. 특히 ‘생이별’의 정서를 장황하게

1좋아요 URL복사 공유
현재 댓글 0
댓글쓰기
0/300

사람과 삶

영상으로 보는 KNOU

  • banner01
  • banner01
  • banner01
  • banner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