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중국으로 가는 옛길 ⑥

 중국지역 연행노정의 중절(中節) 구간은 심양에서 산해관에 이르는 여정입니다. 17세기 초, 명·청 전투가 가장 치열하게 전개되던 곳이기도 하죠. 명·청 전투에 참전한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의 사연과 명나라 붕괴의 기억 때문인지 이 구간을 통과하던 사신들이 심리전(心理戰)을 치르는 공간이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조선의 선비들에게 새로운 경관이 주는 의미는 남다른 감동과 자기성찰의 기회를 주기도 했는데요, 의무려산(醫巫閭山)은 대표적인 공간이었습니다. 중절 구간은 무엇보다 사행을 힘들게 한 행역삼고(行役三苦:새벽안개, 낮 먼지, 저녁 바람)의 노정이기도 했습니다.  노정의 괴로움, 모래 바람과 진펄연행노정의 중절은 심양을 벗어나 산해관으로 이어집니다. 경유지는 탑만촌-영안석교(永安石橋)-요하(遼河,주류하,거류하)-신민-이도정-반랍문-소흑산-광녕성(북진묘,의무려산)-여양-십삼산-대릉하-금주-소릉하-송산-행산-탑산-영녕사(다붕암)-영원성-동관역-중후소-맹강녀묘-위원대-산해관입니다. 박지원의 『열하일기』를 참고하면, 성경잡지(盛京雜誌)와 일신수필(馹迅隨筆)에 해당하는데요, 약 14일가량 소요되었고, 일반적인 사행의 경우 보통 11일 거리입니다. 사행길에서 요하 근처의 모래바람은 이만저만한 고역이 아니었습니다. ‘행역삼고’ 중 ‘낮의 먼지와 저녁 바람’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지역은 북방 몽고 사막에서 불어오는 잦은 황사로 사신들의 발목을 잡기로 유명했습니다. 연행록에는 “요하 일대에서 모래폭풍을 만나 일주일 가까이 움직이지 못했다”는 기록이 있는데요, 당시엔 ‘모래가 입안에 씹힐 정도였다’고 했습니다. 오늘날엔 황사에 스모그가 더해져 환경에 대한 경각심을 느끼지 않을 수 없습니다. 연경까지는 만만한 길이 아니었습니다. 이도정-반랍문-소흑산 구간은 봄이면 겨우내 얼었던 땅이 녹으면서 진창을 이루었던 곳입니다. 여름철이면 장맛비에 길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물이 넘쳐 사행단 행렬의 고생이 이만저만 아니었던 모양입니다. 이곳은 지대가 낮아 비가 내리기만 하면 강물을 이루고, 땅이 녹으면 무릎까지 빠지거나 말의 배까지 찰 정도였다고 하여 악명이 높았습니다. “요양에서 소흑산에 이르는 7일의 일정이 마치 1년처럼 길게 느껴지고, 귀신의 나라에 온 것 아닌가 의심이 들 정도였다”고 합니다. 저는 우기(雨期)에 이도정과 소흑산 일대를 지나간 적이 있었는데 이미 도로가 정비되고 시간이 지나 옛 모습을 상상하기란 쉽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간간이 유사한 장면을 목도 하노라면 과거 선조들의 고단한 사행길이 눈에 선하여 숙연한 마음을 갖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흑산은 광녕성에 도착하기 전의 작은 도시입니다. 연암 박지원도 이곳에서 쉬어갔던 곳이죠. 흑산에서는 사행단을 위로하는 작은 잔치를 벌이기도 했는데요, 돼지를 잡아 사행에 참여한 아랫사람들과 나눠 먹는 것이 관례였다고 합니다. 요즘으로 보자면 ‘단체 회식’쯤 될까요? 압록강을 건너서부터 험준한 산과 하천, 끝없는 요동-요서의 황톳길까지 짐수레를 끄는 고단한 여정이었을 것입니다. 앞으로 가야 할 길은 더 먼 곳이니 ‘돼지 회식’으로 말몰이꾼을 비롯한 하예(下隸:부리는 사람)들의 사기를 북돋워 줘야 할 필요성이 있었을 것입니다. 자각과 성찰의 공간, 의무려산연행노정 중절 구간에서 빼놓을 수 없는 공간은 광녕성 서쪽에 있는 의무려산(醫巫閭山)입니다. 이곳은 사행들의 유람처로 유명한 곳입니다. 특히 1617년 이정구는 『의무려산기』를 남겼고, 1713년 김창업은 관음각에서 묵었고, 1725년 조문

0좋아요 URL복사 공유
현재 댓글 0
댓글쓰기
0/300

사람과 삶

영상으로 보는 KNOU

  • banner01
  • banner01
  • banner01
  • banner01